2014년 12월 5일 금요일

난소 기형종은 수술해야 할까요?

난소의 기형낭종은 난소에서 발생하는 종양한 가장 흔한 형태중 하나로 11-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성숙기형낭종(mature cystic teratoma)의 80%는 가임기 여성들에서 발생하며, 40세 이하 여성들에서 발생하는 난소 종양 중 62%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난소의 성숙기형낭종은 양성종양이긴 하지만 전체의 1-2%에서 악성변환이 발생하며, 이중 편평상피세포암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임신중에 발견된 성숙기형낭종의 경우 바로 제거를 해야하는지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은데, 6cm 이상이면 제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중에는 거대 낭종에 의한 난소염전이나 낭종 파열로 심한 화학적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임신중에도 복강경을 이용해서 쉽게 제거가 가능하므로 임신1삼분기를 지난 시점에서 바로 수술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난소의 기형종은 반드시 수술로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다른 어떤 치료도 의미가 없습니다!!


Dermoid cyst


A dermoid cyst is a cystic teratoma that contains developmentally mature skin complete with hair follicles and sweat glands, sometimes luxuriant clumps of long hair, and often pockets of sebum, blood, fat, bone, nails, teeth, eyes, cartilage, and thyroid tissue. Because it contains mature tissue, a dermoid cyst is almost always benign. The rare malignant dermoid cyst usually develops squamous cell carcinoma in adults; in babies and children it usually develops endodermal sinus tumor.
Some authors use the term dermoid cyst as a frank synonym for teratoma, meaning any teratoma, regardless of its histology or location. Others use it to mean any mature, cystic teratoma. These uses appear to be most common in gynecology and dermatology.


Location

A dermoid cyst can occur wherever a teratoma can occur.

Periorbital dermoid cysts

Dermoid cysts can appear in young children, often near the lateral aspect of the eyebrow (right part of the right eyebrow or left part of the left eyebrow). It often has a rubbery feel. These are sometimes watched and sometimes excised. An inflammatory reaction can occur if the dermoid cyst is disrupted.
Dermoid cysts can recur if not completely excised. Sometimes, complete excision is not practical if in a dumbbell configuration where the cyst extends through a suture line in the skull.
If the dermoid cysts appear on the medial aspect, the possibility of an encephalocele becomes greater and should be considered amo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Treatment

Treatment for dermoid cyst is complete surgical removal, preferably in one piece and without any spillage of cyst contents. Marsupialization, a surgical technique often used to treat pilonidal cyst, is inappropriate for dermoid cyst due to the risk of malignancy.
The association of dermoid cysts with pregnancy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They usually present the dilemma of weighing the risks of surgery and anesthesia versus the risks of untreated adnexal mass. Most references state that it is more feasible to treat bilateral dermoid cysts of the ovaries discovered during pregnancy if they grow beyond 6 cm in diameter. This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laparotomy or very carefully through laparoscopy and should preferably be done in the second trimester.[1]

Differential diagnosis

A small dermoid cyst on the head (skull sutures, and midline: sinus, nose, palate, tongue, under the tongue, etc.) or the coccyx can be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a pilonidal cyst. This is partly because both can be full of hair. A pilonidal cyst is a pilonidal sinus that is obstructed. Any teratoma near the body surface may develop a sinus or a fistula, or even a cluster of these. Such is the case of Canadian Football League linebacker Tyrone Jones, whose teratoma was discovered when he blew a tooth out of his nose.[2]
From http://en.wikipedia.org/wiki/Dermoid_cyst

Use of heparins during pregnancy (임신중 헤파린의 용량)

Heparin
Dose level
Dosage
LMW heparin
Prophylactic*
Enoxaparin 40 mg SC once daily
Dalteparin 5000 units SC once daily
Intermediate
Enoxaparin 40 mg SC once daily, increase as pregnancy progresses to 1 mg/kg once daily
Dalteparin 5000 units once daily, increase as pregnancy progresses to 100 units/kg once daily
Therapeutic
Enoxaparin 1 mg/kg every 12 hours
Dalteparin 100 units/kg every 12 hours
Unfractionated heparin
Prophylactic
5000 units SC twice daily
Intermediate
First trimester: 5000 to 7500 units every 12 hours
Second trimester: 7500 to 10,000 units every 12 hours
Third trimester: 10,000 units every 12 hours
Therapeutic
Dose every 12 hours to keep aPTT at 1.5 to 2.5 times control or patient's baseline six hours after dose

PCOS 환자에서 복강경 수술로 배란유도 하기

Laparoscopic surgery for ovulation induction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클로미펜과 메트포르민(clomiphene and metformin)으로 배란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다음 단계로 letrozole을 사용합니다. 레트로졸로도 배란되지 않을 경우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약물치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습니다.
한개의 난포만 배란시키기 어렵다
30%에서 쌍둥이 임신이 유도된다(과배란 때문)
난소과자극증후군 (OHSS) 이 나타나기 쉬우며 치료중 주의 깊게 관찰이 필요하다
매주기마다 약물을 반복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치료비가 상당한 수준이다.
임신이 되었을 경우에도 자연배란에 의한 임신보다 유산율이 높다.

복강경수술 —  1030년대부터 PCOS 환자의 양측 난소의 일부 절제를 시행하여 배란유도 및 임신에 성공하였습니다. 그러나 수술 후 유착유발 등의 부작용과 클로미펜같은 배란유도제가 개발되어면서 수술은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복강경 수술이 보편화되면서 PCOS의 수술적 치료에 새로운 관심이 집중되고있습니다.
1000명의 PCOS 환자를 수술한 문헌을 보면 55%가 임신을 하여 3~6 사이클의 gonadotrophin 치료와 비슷한 수준으로 보도되었습니다. Randomized controlled study의 결과를 볼때 다낭성난소에 대한 전기소작술은 성선자극호르몬 치료와 임신율은 비슷하며 다태아 임신율은 낮습니다.
내분비적 변화 — 복강경 수술 후 일시적으로 androstenedione 농도가 감소하며 LH, Testosterone, inhibin 농도는 보다 오랫동안 감소합니다.  역으로 FSH는 상승합니다. 전체적으로 볼때 다낭성난소로 인한 호르몬 이상 소견이 교정된다고 판단됩니다. (FSH/LH 역전 현상이 교정된다는 뜻)
인슐린 및 lipoprotein 의 변화는 논문마다 상이한데,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는 이유는 insulin receptor serine phosphorylation의 감소 때문이라고 합니다. (병태생리학상 성호르몬이 개선되었을 경우 인슐린저항성이 좋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 Dr. Kim)
치료기전 — 치료의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수술은 주로 stroma(남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조직)을 파괴해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되지만 stroma의 파괴없이 난포액을 흡수하는 방법만으로도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명확하지 않습니다.  남성호르몬이 급격히 저하되어 FSH가 상승하면서 배란이 유도되는 것도 하나의 가능한 가설입니다. 
방법 — 전기소작술,  레이저 드릴링, 다중 조직검사 등의 방법이 있는데, 모두 난소의 특정 부위를 파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방법은 전기소작술이나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차이가 없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록 효과가 비슷하다고 하나 레이저를 이용한 수술은 난소 표면의 손상과 치료 후 유착 유발 가능성 때문에 관심이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가장 각광받는 치료는 unipolar needle(단극 침, 모든 병원에서 사용하는 전기소작기)을 이용한 전기소작술인데, 끝 1-2cm를 제외하고 전기가 통하지 않게 피복한 제품을 사용합니다. 한 난소당 4~6개 정도의 천공을 시행하면 부작용 없이 충분한 효과가 있습니다. 클로미펜에 반응하지 않는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 112명을 대사으로 한 연구에서 전기소작술을 시행한후 관찰한 결과 12, 18, 24개월 후 누적임신율이 54%, 68%, 82% 였습니다. 유산율은 8%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최근 질쪽으로 이용한 hydrolaparoscopy가 동일한 효과를 내면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고 있습니다.


15명의 환자에서 2nd look laparoscopy(이전 수술의 효과를 보기 위한 2차 복강경 검사)를 시행한 결과 11명은 유착이 없고, 4명에서는 flim 정도의 약한 유착만 발견되어 위험도는 적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효과 — 임신율이 성선자극호르몬 (gonadotropin therapy)과 동등한 것 이외 복강경 수술은 몇가지 추가적인 효과가 동반됩니다.
성선자극호르몬 투여 처럼 intensive, expensive한 모니터링이 필요 없음.
수술치료를 비용 대비 효과가 뛰어납니다. 약물치료는 한 사이클만 배란되지만, 수술을 상당기간 효과가 지속됩니다.
다태아 임신이나 난소과자극증후군(OHSS)가 없습니다.
호르몬을 이용한 치료와 임신율이 비슷합니다. 시술 후 6개월까지 임신율이 55%정도 됩니다.
유산율은 호르몬요법보다 낮습니다.

Metformin을 clomiphene과 같이 처방했을때 수술 치료와 효과가 비슷하는 보고도 있으며, metformin 사용했을때 모든 임신관련 결과가 좋다는 보고가 있기에 metformin 치료를 수술전 꼭 고려해야 봐야 합니다. 또한 letrozole과 수술을 비교했을때 letrozole을 이용한 것이 배란유도가 더 잘된다는 보고도 있기 때문에 수술(ovarian drilling)을 고려하기 전 letrozole도 사용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수술을 시행하기전 고려해야할 사항입니다.
환자가 비만할 경우 수술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BMI가 30 이상인 경우 시행하기 어렵습니다.
다른 불임 요인이 없어야 합니다. PCOS 만 문제라면 수술을 임신 확률이 80-87%도 정도 되지만, 다른 요인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 14~29%만 임신이 가능합니다.
시험관아기시술(IVF)도 임신율이 높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한 고려를 해야 합니다. 요즘은 이식되는 배아를 조절해서 다태아 임신이 현저히 감소하였습니다.
가능한 부작용 — 대체적으로 안전한 시술이지만, 일분 환자에서는 심한 유착이 유발된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유착이 임신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한 케이스 리포트에서 일측 난소의 atrophy(크기 감소)를 보고하였습니다.
전기소작술과 폐경과의 관련성을 다룬 논문은 없지만, 양측 난소 부분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가 초기 폐경이 올 가능성이 높다는 보고는 있습니다. 
한 논문에서는 환자가의 AMH가 수술 후 감소함을 보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수술이 갖고 있는 장점을 훼손할 정도의 문제들은 아닙니다.


----------------------------------------------------------------------------------------------------------------------------
Hydrolaparoscopy



Summery 
무배란 PCOS 환자에서 배란유도의 첫 걸음은 체중감량이고 이후 metformin, clomiphene, aromataze inhibitor를 우선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경구 약제에도 반응하지 않은 PCOS 환자들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배란유도나 수술을 고려합니다. 두 가지 치료 모두 임신율은 비슷하며, 다태아 임신율은 수술쪽이 적습니다.
성선자극호르몬을 사용하는 것은 비용이 증가하며, 다태임신율, OHSS의 위험도가 있고, 수술을 할 경우 전신마취, 수술 후 유착 유발, 난소 기능 저하 등의 위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선택함에 있어 의료시설의 상태 및 수술자의 숙련도를 고려해야합니다.
수술 대상자는 BMI 30  이상의 고도비만이 아니어야 하고 다른 불임요인이 없어야 합니다
경구 약제로 배란이 되지 않는 PCOS 환자들에게 성선자극호르몬 주사치료와 수술요법은 이해득실을 비교해보았을때 동일하다고 봅니다.  우선 성선자극호르몬을 치료해 보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맞다고 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하겠습니다. 향후 transvaginal hydrolaparoscopy 같은 보다 안전한 수술법이 범용화되면 수술법이 우선적 고려대상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Dr. Kim의 개인적 경험---------------------------------------------------------------------------------------
사실 한국에서 PCOS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PCOS 환자 중 임신을 원하는 사람들은 불임크리닉을 방문해서 치료법을 의논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불임크리닉에서 Operative laparoscopy를 잘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gonadotrophine을 이용한 배란유도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분 환자에서 OHSS가 심하게 생기거나 고안드로겐혈증 때문에 여드름이 너무 심할때 수술을 고려하게 되며, 실제 수술 후 생리도 규칙적으로 하고 여드름이 완전히 사라진 환자가 있습니다. 물론 수술전 AMH 검사를 해서 난소 기능이 충분히 안전할만큼 좋아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합니다.

CA125 가 높이면 난소암일까요?

CA125는 난소암,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근종, 골반염 등 다양한 질환에서 상승할 수 있습니다. CA125가 주로 난소암의 재발을 확인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CA125가 높다고 하면 난소암이 아닌가 걱정하기 쉬운데, 실제로 CA125가 상승하는 가장 흔한 경우는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이 있을 경우입니다.

또한 CA125는 생리주기에 따라 변동이 되기 때문에 검사결과가 애매할 경우 재검사가 필수적이며, 절대적인 레벨보다는 상승하는 패턴이 더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검진에서 CA125가 높게 나왔다고 해도 반드시 난소암을 의심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As a biomarker
CA-125 is clinically approved for follow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and predicting prognosis after treatment. It is especially useful for detecting the recurrence of ovarian cancer. Its potential role for the early detection of ovarian cancer is controversial and has not yet been adopted for widespread screening efforts in asymptomatic women. The key problems in using the CA-125 test as a screening tool are its lack of sensitivity and its inability to detect early stage cancers. An operation would be necessary to confirm that a woman with elevated CA-125 has ovarian cancer, with the associated risk of death from major surgery. In addition, even if cancer was confirmed in such circumstances, it usually would be at an advanced stage where therapy is less effective. The goal of many cancer biologists is to develop a test that would be employed to diagnose ovarian cancer at an early stage, when the effec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optimal.Specificity and sensitivity

Speicificity and Sensivitiy
It is best known as a marker for ovarian cancer,[5] but it may also be elevated in other malignant cancers, including those originating in the endometrium, fallopian tubes, lungs, breast and gastrointestinal tract. CA-125 may also be elevated in a number of relatively benign conditions, such as endometriosis, several diseases of the ovary, and pregnancy.[7] It also tends to be elevated in the presence of any inflammatory condition in the abdominal area, both cancerous and benign.

Thus, CA-125 is not perfectly specific for cancer nor is it perfectly sensitive since not every patient with cancer will have elevated levels of CA-125 in the blood.[8] For example, 79% of all ovarian cancers are positive for CA-125, whereas the remainder do not express this antigen at all.[9]



Ranges in ovarian cancer


While this test is not generally regarded as useful for large scale screening by the medical community, a high value may be an indication that the woman should receive further diagnostic screening or treatment. Normal values range from 0 to 35 (μg/mL). Elevated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are usually an indication that further screening is necessary. In pre-menopausal women, the test is less reliable as values are often elevated due to a number of non-cancerous causes, and a value above 35 is not necessarily a cause for concern.



Discovery


CA-125 was initially detected using the monoclonal antibody designated OC125. Dr.'s Robert Bast, Robert Knapp and their research team first isolated this monoclonal antibody in 1981.[10]

From http://en.wikipedia.org/wiki/CA125

난소 낭종 (ovarian cyst) 수술 해야할까요?

생리를 정상적으로 하는 분이라면 배란주기에 따라 몰혹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합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매달 배란에 관련된 난포 및 황체낭종은 물혹으로 분류하면 안되는 정상적인 구조물이지만, 초음파상으로는 구분이 되기 않기 때문에 그냥 '물혹'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러한 낭종은 "기능성 낭종"이라고 구분합니다.

다음과 같은 물혹은 수술하지 않고 지켜봐야 하는 것들입니다.

1) 8cm 미만의 단순 낭종
2) 배란후에 발견된 출혈성 낭종
3) 난소가 아닌 난관에서 기인된 단순 물혹 또는 난관수종

다음과 같은 물혹은 반드시 수술해야 하는 것들입니다.

1) 경계성종양을 의심할만한 모양의 낭종(다방성, 두꺼운 격막 등..)
2) 기형종이 의심되는 낭종 - 일부에서 암이 발견될 수 있음
3) 자궁내막종이 의심되는 낭종 - 골반내 복막에 광범위한 유착을 유발하므로 난소 물혹보다는 골반내 수술이 주가 됩니다.
4) 염전(꼬이는 것)이 의심되는 증상을 동반한 낭종 (아주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보통 없어지지 않는 '물혹'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serous cystadenoma나 mucious cystadenoma를 의미하는데, 이 자체로는 악성이 의심되지 않는 한 제거할 이유는 없습니다. 성장하는 속도와 크기, 그리고 CA125 수치에 따라 수술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The History of Laparoscopy

The History of Laparoscopy


1806 - Philip Bozzini 내부 장기를 관찰할 수 있는 기구를 개발했고, 이 기구는 "Lichtleiter"라고 불렀다. Bozzini는 최초의 내시경 창시자로 인정받고 있으나, 사람에게 사용된 적은 없다. 빛의 소스로 촛불을 사용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은 이러한 시술을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엔나 동료의사들로 부터 평가를 받은 뒤 그의 지나치 "호기심(curiosity)" 때문에 벌을 받았다.




1929 - 독일의 소화기의사였던



Heinz Kalk가 독일 복강경 학회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Kalk는 135도 렌즈시스템과 듀얼 트로카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Kalk는 복강경을 간과 담낭 질환의 진단에 이용하였다. 1939년 국소마취를 이용한 2000례의 간생검 경험을 책으로 출간하였다.


1853 - Antoine Jean Desormeaux가 Bozzini의 'Lichtleiter"를 자신의 환자에게 도입한 최초의 프랑스 의사이다.   Antoine Jean Desormeaux는 "내시경의 아버지"로 인정받고 있다. Lichtleiter는 램프 불빛을 이용한 반사경과 렌즈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 시술의 가장 큰 부작용은  "화상"이었다. 이 시스템은 주로 비뇨기과 진료에 사용되었다





 1876 - Maximilian Nitze, modified Edison's light bulb invention and created the first optical endoscope with built-in electrical light bulb as the source of ilumination. Like the Lichtleiter from Bozzini, this instrument was only used for urologic procedures.
 
 
 




1881 - Mikulicz and Leiter, adopted Max Nitze's principle of a rigid optical system and succeeded in constructing the first useful clinical gastroscope. Mikulicz also carried out numerous examinations on patients and obtained diagnostic results in Billroth's surgical clinic in Vienna.